Network

네트워크 REST API

mellomello.made 2022. 6. 10. 17:14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1.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를 명시한다.
2. HTTP Method를 통해 해당 자원(URI)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한다.

 

HTTP METHOD
Creat(생성) Post
Read (조회) Get
Update(수정) Put/Patch
Delete(삭제) Delete

 

REST 구성요소
  1. 자원(Resource) : HTTP URI
  2. 자원에 대한 행위(Verb): HTTP Method
  3. 자원에 대한 행위의 내용(Representations): HTTP Message Pay Load

REST 특징
  1. server-client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
  2. Stateless(무상태)
  3. Cacheable(캐시 처리 가능)
  4. Layered System(계층화)
  5. Uniform interface(인터페이스 일관성)

 

REST 장점
  1. HTTP 프로토콜의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REST API 사용을 위한 별도의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없다.
  2. HTTP 프로토콜의 표준을 최대한 활용하여 여러 추가적인 장점을 함께 가져갈 수 있게 해준다.
  3. HTTP 표준 프로토콜에 따르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하다.
  4. Hypermedia API 기본을 충실히 지키면서 범용성을 보장한다.
  5. REST API 메시지가 의도하는 바를 명확하게 나타내므로 의도하는 바를 쉽게 파악 할 수 있다.
  6. 여러가지 서비스 디자인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한다.
  7.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명확하게 분리한다.

 

REST 단점
  1. 표준이 존재하지 않아 정의가 필요하다.
  2. HTTP Method 형태가 제한적이어서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가 4가지 밖에 없다.
  3. 브라우저를 통해 테스트할 일이 많은 서비스라면 쉽게 고칠 수 있는 URL보다 Header 정보의 값을 처리해야 하므로 전문성이 요구된다.
  4. 구형 브라우저에서 호환이 되지 않아 지원에 한계가 있다.

 

 

REST API
REST API란 REST의 원리를 따르는 API이다.


 

REST 설계 규칙
URI는 동사보다는 명사, 대문자 말고 소문자를 사용하여야한다.

[❌] <http://mellomello-made.com/Running>
[⭕️] <http://mellomello-made.com/run>

마지막에 슬래시를 포함하지 않는다

[❌] <http://mellomello-made.com/test/>
[⭕️] <http://mellomello-made.com/test>

언더바 대신 하이픈을 사용한다.

[❌] <http://mellomello-made.com/test_blog>
[⭕️] <http://mellomello-made.com/test-blog>

파일 확장자는 URI에 포함하지 않는다.

[❌] <http://mellomello-made.com/photo.jpg>
[⭕️] <http://mellomello-made.com/photo>

행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 <http://mellomello-made.com/delete-post/1>
[⭕️] <http://mellomello-made.com/post/1>

 

References

 

REST - 인코덤, 생물정보 전문위키

#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www.incodo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