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1. 변수
Variables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컨테이너이다.
변수를 선언할 때 var 또는 let 키워드 뒤에 원하는 어떤 이름을 붙인다.
올바른 변수 선언 및 값 할당 방식
- 변수 선언 시에는 키워드 let을 사용하고, 할당을 위해서는 할당 연산자 = 을 사용한다.
let icecream = 'chocolate'; //값이 문자열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인용부호 달아준다.
let num = 5; //숫자는 인용부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 쉼표를 활용해서 키워드를 한 번만 사용하여 변수 선언과 값 할당을 할 수 있다.
let icecream = 'chocolate',
num = 5;
함수 호출 방식과 변수 선언 및 값 할당 방식을 혼동한 코드 표기 방식
- 쉼표를 활용한 함수 선언 및 값 할당 방식이 있지만, 선언 키워드 let을 중복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let icecream = 'chocolate', let num = '5';
- 함수 호출 방식과 변수 선언 및 값 할당 방식을 혼동한 코드 표기 방식.
let icecream, num = ('chocolate', 5);
변수 재할당
let dessertVariable = 'ice';
dessertVariable = 'cream!';
console.log(dessertVariable);
JavaScript에서는 키워드 let으로 처음 변수를 선언한 뒤, 선언된 변수 dessertVariable를
가지고 와 다른 값을 할당해줌으로써 재할당이 가능하다.
dessertVariable에 처음에 ‘ice’라는 값이 할당이 되었다가, 이후 ’cream!’를 할당했으므로, dessertVariable의 최종적인 값은 ’cream!’이다.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조건문 (0) | 2022.04.27 |
---|---|
JavaScript 함수 (0) | 2022.04.27 |
JavaScript 타입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