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4

JavaScript 함수

Chapter3. 함수 함수는 기능의 단위이다. 함수는 반복적인 기능을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종의 즐겨찾기 기능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함수는 반드시 돌아 온다. (return) 함수에는 구체적인 입력값과 출력값이 존재한다. parameter와 argument function triangle(base, height){ return (base * height)/2 } triangle(3, 4); function square(base){ let side = base; return base * side; } square(3); 함수 triangle의 parameter는 base,height 이다. 함수 triangle 호출 시(triangle(3, 4);), argumen..

JavaScript 2022.04.27

JavaScript 타입

Chapter2. 타입 typeof 연산자 사용법 typeof 값; 원시 자료형 타입 string 텍스트 데이터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number 숫자 boolean 논리 요소를 나타내며 true와 false 두 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undefined 변수에 값이 없음. 변수를 선언만 하고 값을 할당하지 않았을 때 자동적으로 들어간다.(빈박스만 있는 상태) null 변수에 값이 없음. 변수에 인위적으로 null 이라는 값을 할당해주지 않으면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변수에 의도적으로 값을 할당하지 않았다는걸 표시하기 위해서 null 이라는 값을 할당한다. (null 은 빈 박스에 '비어 있음' 이라고 표시해놓은 상태)let dessert = '아이스크림'; typeof 연산자를 활용하여 특정 값..

JavaScript 2022.04.27

JavaScript 변수 선언과 할당

Chapter1. 변수 Variables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컨테이너이다. 변수를 선언할 때 var 또는 let 키워드 뒤에 원하는 어떤 이름을 붙인다. 올바른 변수 선언 및 값 할당 방식 변수 선언 시에는 키워드 let을 사용하고, 할당을 위해서는 할당 연산자 = 을 사용한다. let icecream = 'chocolate'; //값이 문자열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인용부호 달아준다. let num = 5; //숫자는 인용부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쉼표를 활용해서 키워드를 한 번만 사용하여 변수 선언과 값 할당을 할 수 있다. let icecream = 'chocolate', num = 5; 함수 호출 방식과 변수 선언 및 값 할당 방식을 혼동한 코드 표기 방식 쉼표를 활용한 함수 선언 및 값 ..

JavaScript 2022.04.26